본문 바로가기

광고대행사

(132)
Digital Insight Lab 출범에 즈음하여
2018년 SM C&C 신년사
No.100 2018년 1월호 M&C NEWS LETTER
결국 콘텐츠도… SM Makes It. 한 해 동안 수십 편. 아니 그 이상의 방송콘텐츠, 드라마콘텐츠, 공연콘텐츠 등이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공급됩니다. 이제는 공공재라고 불러 마땅한 영화콘텐츠, 음악콘텐츠 등은 당연히 그 숫자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 일 것 입니다. 심지어 콘텐츠플랫폼시장은 디지털, 모바일로 확장되어 과거의 올드미디어 시절의 환경과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SM Group의 한 가족이 되신, 2017년 예능대세 ‘김생민’님의 유행어를 빌리자면, 대한민국의 수 많은 콘텐츠들이 대중들에게 ‘어프로오오치~’ 하지만, 그 중의 대다수는 ‘스튜핏’으로 끝나버립니다. 극소수의 콘텐츠만이 ‘그레잇’의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고, 그 극소수중에서 ‘1%의 어떤 것’을 가지고 있는 콘텐츠만이 ‘수퍼 울트라 흥행 그레잇’을 ..
자신만의 공간, 혼자만의 시간을 찾는 그대에게 어느덧 계절은 한겨울이 되었고, 거리에는 조명이 반짝거립니다. 깊어가는 연말 분위기에 2017년도 마무리할 시간임을 체감합니다. 이렇게 연말이 되면, 숨 가쁘게 달려온 한 해를 돌아보고 잠시 한숨 돌리는 순간을 가지게 되는데요, 여러분은 조용히 혼자만의 시간으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지는 않으신가요? 꼭 이렇게 연말이 아니더라도, 현대인은 종종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이런 현상은 사회가 번잡해지고 일상이 바빠지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데요, 이번 트렌드 리포트에서는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의 형태를 살펴봅니다. 소소한 일상에서 찾는 휴식 공간 '케렌시아', 들어보셨나요? 헤밍웨이의 '오후의 죽음'이라는 소설에서 등장하는 스페인어입니다. 투우장의 소가 싸움 중 본능적으로..
2018년 마케터가 알아야 할 20대 키워드 5 “당신이 놓치고 있는 요즘 것들” 우리 팀 신입사원과 대화하는 게 조금 불편하거나, 그들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는 순간이 있으신가요? 그건 매우 당연한 현상이니 너무 염려치 마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20대와 지금의 20대는 완전히 다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타깝지만 그걸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흔히 “꼰X”라고 불리기도 하죠.) 그럼, 20대를 이해하기 위해 2018년도 주목해야 할 트렌드를 다섯 가지 키워드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Trend Keyword 01. 무민세대 [無(없다)+mean(의미)+세대]: 무의미에서 꾸밈없는 의미를 찾다 #그_무민_아님 #무의미의_의미 #무자극 의미가 없기 때문에 더 눈에 띄는 것들이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말랑거리는 반죽을 만지..
MCN(Multi Channel Network), 유튜브를 벗어나 콘텐츠 경쟁의 시대를 주도하다. "즐겨보는 유튜버 있으신가요?" ‘유튜버’가 아닌 ‘크리에이터’ 대중들에겐 MCN보다 ‘유튜버’라는 용어가 익숙한 만큼 1인 미디어들은 YouTube(유튜브)를 발판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YouTube라는 한 채널에 갇혀 있기엔 현재 1인 미디어들의 파급력이 가히 폭발적임을 의심하는 사람들 또한 없죠. 그럼에도 YouTube와 유튜버 간의 수익 분배 비중이 이러한 인기를 반영하지 못 하고 있자, MCN 사업 수익성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며 불만의 목소리도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YouTube에 국한된 유튜버가 아닌, 다양한 플랫폼에 진출해 ‘크리에이터’로 변모하는 것이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수순일 것입니다. TV까지 사로잡은 MCN 방송사들은 TV를 떠나는 시청자들을 다시 사로잡기 위..
2017년에는 Reality, 2018년은 Chat 시대? 다사다난한 일이 가득했던 2016년을 지나, 많은 희망으로 가득했던 2017년 정유년도 이제 한 달 밖에 남지 않은 나날입니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희망이 가득하길 바라는 마음은 세계의 광고계도 비슷했나 봅니다. Reality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주려는 크리에이티브가 많았던 게 주요 특징이 아닐까 합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를 활용한 크리에이티브가 상당히 많이 등장했습니다. 그동안 BIZ TREND에서 소개 드렸던 사례들 중에서 인상적이었던 것을 몇 개 살펴보겠습니다. 그곳에 와있는 것과 같은 생생한 느낌 ① 뉴욕타임즈 NYT VR 뉴욕 타임즈는 구글과 협력하여 VR 기기인 ‘구글 카드보드’를 130만 독자들에게 배포했습니..